730억원 들인 스마트공장 1300개 문닫아

전국 3만여개 스마트 공장 중 1321곳 폐쇄


그간 모은 데이터 활용 못해

지난 10년간 정부 지원을 받은 스마트공장 중 약 1300곳이 폐업해 그간 쌓은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스마트공장은 생산설비를 자동화하면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공장 운영과 설비 효율 개선 등에 활용하는 시설을 말한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캡처>

정부가 매년 대규모 예산을 들여 스마트공장 건립을 지원하고 있지만 10년간 약 1300곳에 달하는 스마트공장이 폐쇄된 것으로 조사됐다. 공장이 문을 닫으면 그간 모은 데이터가 사라져,데이터 활용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사업을 시작한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 지원을 받아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 1321곳이 폐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해당기간 2조1410억원의 예산을 들여 3만5282곳의 스마트공장을 지원했는데,약 729억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315건,경남 187건,경북 147건,대구 94건,부산 87건 순으로 폐업기업이 많았다. 업체별로는 기계장비업체가 212곳으로 가장 많고,자동차 부품(189곳)과 금속가공(123곳)분야가 뒤를 이었다.

정부는 10년간 스마트공장 건립을 지원했지만,기존에 지원한 공장에 대한 데이터 수집·활용 등에 대한 논의는 이제 시작되는 단계다. 이제까지는 스마트공장이 문을 닫으면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로봇 등을 활용해 축적한 생산·품질·설비 데이터도 시스템과 함께 폐기됐다. 정부 예산을 들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도 그간 쌓은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것이다.

김동아 의원은 “폐쇄된 스마트공장 데이터를 AI가 학습하도록 하면 시행착오를 줄이고,경영 효율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가 가능할 것”이라며 “정부가 사장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화 하고 AI기업과 유사업종 중소벤처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현대오토에버

307950,KOSPI

156,000

- 0.95%

현대오토에버

현재가 156,000

-0.95%

10.23 14:58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인 디지털 트윈,3D 시각화,실시간 모니터링,시뮬레이션·예측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공장 운영 중단 시 축적된 생산·품질·설비 데이터가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데이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은 공장 데이터의 보존과 활용,AI 학습 기반 경영 효율화,공정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스마트공장 데이터 공공화 및 AI 기업과의 협력 확대 논의는 관련 솔루션 수요 증가와 사업 확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스마트공장 폐업 증가가 제조업 경쟁력에 미칠 영향은?

정부 스마트공장 데이터 관리 미흡의 배경은?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