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전력 분배하는 시스템
3년 5천억원 이상 규모 예상

LS전선 직원이 버스덕트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LS전선] LS전선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대용량 전력공급 시스템을 공급한다.
5일 LS전선은 미국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향후 3년간 버스덕트 공급 프레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버스덕트는 금속 케이스 내부에 판형 도체를 배치해 대용량 전력을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일반 전선보다 발열과 화재 위험,손실률이 낮아 데이터센터 등 고전력 시설의 핵심 기반 시설로 부상하고 있다.
납기와 기술,품질 등의 심사를 거쳐 해당 미국 기업의 글로벌 공급사로 등록된 LS전선은 이번 계약을 통해 북미에 건설되는 데이터센터에 제품을 납품하게 된다.
LS전선에 따르면 구체적인 물량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올해 약 200억원 규모의 공급을 시작으로 향후 3년간 총 50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 공급 규모는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계약도 협의 중인 상황이다.
김우태 LS전선 배전솔루션본부장은 “이번 계약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첫 대규모 거래로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버스덕트 사업이 연간 수천억원대 매출로 성장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AI 시대 전력 인프라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S전선은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북미·베트남을 잇는 글로벌 버스덕트 생산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에 건설 중인 신규 공장이 완공되면 북미 고객 대상 공급 효율성과 납기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자회사 LS에코에너지도 베트남 생산법인 LSCV를 거점으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0월 인도네시아 50MW급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에 버스덕트를 공급하며 빅테크 기업들의 대형 프로젝트로 납품을 확대하고 있다.
회사 측은 “LS에코에너지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 시장,LS전선 멕시코 공장은 북미 시장을 담당하며 한국과 함께 ‘글로벌 생산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수요 증대의 배경은?
글로벌 버스덕트 시장 성장세가 산업계에 미칠 영향은?
검색